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1984년 하계 올림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1984년 하계 올림픽은 1984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개최된 대회이다. 1972년 뮌헨 올림픽 테러와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의 재정적 문제로 유치 경쟁이 저조했으나, 로스앤젤레스가 단독으로 유치에 성공했다. 소련의 보이콧으로 인해 동구권 국가들이 불참했으나, 미국은 금메달 83개를 포함, 총 174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종합 1위를 기록했다. 대회는 21개 종목, 221개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칼 루이스, 메리 루 레튼 등의 스타가 탄생했다. 개회식에서는 존 윌리엄스가 작곡한 올림픽 주제곡이 처음 연주되었으며, 폐회식에서는 라이오넬 리치의 공연이 펼쳐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4년 7월 - 1984년 하계 패럴림픽
    1984년 하계 패럴림픽은 영국 스토크 맨더빌에서 개최된 장애인 올림픽 대회로, 54개국이 참가하여 다양한 종목에서 경쟁했으며, 댄 D. 라이온이 마스코트로 사용되었고, 장애인 스포츠의 중요성을 부각하고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는 데 기여했지만 운영 미숙 등의 문제점도 드러냈으며, 대한민국도 참가했지만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고 1988년 하계 패럴림픽을 서울에서 개최하였다.
  • 1984년 7월 - 프렌드십 게임
    프렌드십 게임은 1984년 소련 등 사회주의 국가들이 미국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보이콧에 대한 대응으로 개최한 국제 종합 스포츠 대회이다.
  • 1984년 하계 올림픽 - 1984년 하계 올림픽 보이콧
    1984년 하계 올림픽 보이콧은 소련이 반소련 정서와 선수단 안전 문제를 이유로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 불참하고 동구권 국가들이 동참한 사건으로,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보이콧에 대한 보복 및 소련의 도핑 적발 우려가 원인으로 분석된다.
  • 1984년 하계 올림픽 - 하이퍼 올림픽
    하이퍼 올림픽은 코나미가 1983년에 제작한 아케이드 스포츠 게임으로, 2개의 달리기 버튼과 1개의 액션 버튼을 사용하여 6가지 종목에서 경쟁하며, 기준을 넘어야 다음 경기로 진출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고, 인기에 힘입어 다양한 플랫폼으로 이식 및 후속작들이 출시되었으며, 국제 트랙 앤 필드 비디오 게임 대회 개최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되기도 했다.
  • 1984년 8월 - 1984년 하계 패럴림픽
    1984년 하계 패럴림픽은 영국 스토크 맨더빌에서 개최된 장애인 올림픽 대회로, 54개국이 참가하여 다양한 종목에서 경쟁했으며, 댄 D. 라이온이 마스코트로 사용되었고, 장애인 스포츠의 중요성을 부각하고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는 데 기여했지만 운영 미숙 등의 문제점도 드러냈으며, 대한민국도 참가했지만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고 1988년 하계 패럴림픽을 서울에서 개최하였다.
  • 1984년 8월 - 프렌드십 게임
    프렌드십 게임은 1984년 소련 등 사회주의 국가들이 미국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보이콧에 대한 대응으로 개최한 국제 종합 스포츠 대회이다.
1984년 하계 올림픽
대회 개요
대회 종류하계 올림픽
연도1984년
대회제23회 올림픽 경기 대회
1984년 하계 올림픽 엠블럼
1984년 하계 올림픽 엠블럼
개최 도시로스앤젤레스, 미국
모토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다
모토 (원어)Play a Part in History
참가 국가140개국
참가 선수6,800명 (남자 5,231명, 여자 1,569명)
경기 종목21개 종목 221개 세부 종목
개막일1984년 7월 28일
폐막일1984년 8월 12일
개막 선언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폐막 선언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 IOC(위원장)
성화 점화자레이퍼 존슨
주 경기장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
이전 하계 올림픽모스크바 1980
다음 하계 올림픽서울 1988
이전 동계 올림픽사라예보 1984
다음 동계 올림픽캘거리 1988
대회 관련 정보
유치 과정유치 세부 정보
성화 봉송경로
마케팅마스코트
개막식국기 게양대
메달 집계메달리스트
폐막식국기 게양대
조직
관련 기관IOC
USOC
재정
기금2억 5천만 미국 달러

2. 개최지 선정

1972년 뮌헨 올림픽 테러 사건과 1976년 하계 올림픽의 막대한 재정 적자, 여러 국가 올림픽 위원회의 보이콧 등으로 인해 1970년대 후반에는 올림픽 개최를 희망하는 도시가 거의 없었다. 이런 상황에서 1984년 하계 올림픽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선 도시는 테헤란로스앤젤레스 두 곳뿐이었다.[8] 그러나 1975년 6월, 테헤란이 유치 신청을 철회하면서 로스앤젤레스만 남게 되었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1978년 5월 18일 아테네에서 열린 제80차 IOC 총회에서 로스앤젤레스 개최를 공식적으로 결정하였다.[9]

이 외에도 벨기에를 중심으로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서독의 라인란트, 프랑스 북부 5개국 공동 개최 계획도 있었다.[41]

2. 1. 유치 경쟁

1978년 5월 18일, 그리스 아테네에서 열린 80차 IOC 총회에서 미국 로스앤젤레스가 개최 도시로 결정되었다. 경쟁 도시가 없어 투표는 필요하지 않았다.[9]

1972년 뮌헨 올림픽 테러 사건과 1976년 하계 올림픽의 심각한 재정 적자, 그리고 여러 국가 올림픽 위원회의 보이콧으로 인해 1970년대 후반에는 하계 올림픽 유치를 원하는 도시가 거의 없었다. 1984년 하계 올림픽 유치에 본격적으로 나선 도시는 테헤란[8]과 로스앤젤레스 두 곳뿐이었지만, 1975년 6월에 테헤란이 유치 신청을 철회하면서 로스앤젤레스의 단독 입찰로 진행되었고,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이를 수락했다.[9]

로스앤젤레스는 이전 두 번의 하계 올림픽(1976년과 1980년) 유치에 실패한 경험이 있었다. 미국 올림픽 패럴림픽 위원회(USOPC)는 1944년 하계 올림픽 이후 모든 올림픽에 적어도 한 번 이상 유치 신청을 했지만, 단독 입찰이었던 1932년 하계 올림픽 이후로는 성공하지 못했다.

1984년 하계 올림픽 유치 결과[10]
도시국가득표수
로스앤젤레스미국만장일치
테헤란이란자금 부족으로 인한 입찰 취소



1972년 뮌헨 올림픽의 이스라엘 선수단 테러 공격과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의 막대한 적자 등으로 인해 올림픽 개최는 인기가 없었다. 1975년에는 테헤란도 입후보했으나,[37] 1977년 6월에 입후보를 철회했다. 미국 내에서도 1977년 당시 로스앤젤레스 외에 뉴욕, 애틀랜타, 보스턴, 시카고, 뉴올리언스가 입후보했으나,[38] 미국올림픽위원회 투표에서 최종적으로 뉴욕 39표, 로스앤젤레스 55표로 로스앤젤레스가 미국 내 후보 도시로 결정되었다.[39] 1978년 IOC 총회에서의 결정 단계에서는 로스앤젤레스 개최를 목표로 하는 민간 단체인 "남캘리포니아 올림픽 위원회"(SCCOG)의 단독 입후보가 되었고,[40] 로스앤젤레스 개최가 결정되었다.

로스앤젤레스는 1932년 대회 수익을 이용하여 1940년 대회 재개최를 목표로 현지 실업가들에 의해 남캘리포니아 올림픽 위원회가 설립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계획이 무산되었고,[42] 전후 1948년부터 1956년 대회에 입후보했으나 모두 낙선했다. 1970년에는 미국 건국 200주년에 맞춰 1976년 대회에 세 번째 입후보 계획이 제기되었으나 이후 낙선했고, 1980년 대회에도 계속 입후보했으나 낙선이 이어졌다.[43]

3. 상업 올림픽

1984년 올림픽을 알리는 신문 판매대


1984년 하계 올림픽은 이전 올림픽과는 달리 상업적인 면모를 보이며 "상업 올림픽"으로 불린다.

1976년 하계 올림픽(몬트리올 올림픽)과 1980년 하계 올림픽(모스크바 올림픽)은 대규모 시설 투자와 정부 주도의 재정 지원으로 막대한 적자를 기록했다. 반면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은 민간 자본을 적극 유치하고, 기존 시설을 최대한 활용하는 등 효율적인 운영으로 흑자를 달성했다.

1984년 올림픽은 기업 스폰서십, 텔레비전 중계권 판매, 기념품 판매 등 다양한 수익원을 마련했다. 특히 업종별 독점 스폰서십을 도입하여 스폰서십 가치를 높였고, ABC와 중계권 계약으로 많은 수입을 얻었다.

이러한 노력으로 1984년 올림픽은 약 2.15억달러의 흑자를 기록하며, 올림픽 역사상 최초의 상업적 성공 사례가 되었다. 수익금은 LA84 재단 설립에 사용되어 미국 청소년 스포츠 진흥에 기여했다.

3. 1. 재정 운영

1976년 하계 올림픽의 막대한 재정적 손실 이후, 1984년 올림픽 개최에 관심을 보인 도시는 로스앤젤레스뉴욕뿐이었다. 미국 올림픽 위원회의 투표에서 로스앤젤레스가 55표, 뉴욕이 39표를 얻어 로스앤젤레스가 개최지로 선정되었다.[31]

이전 두 번의 하계 올림픽(1976년 몬트리올, 1980년 모스크바)의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는 조직위원회에 큰 빚을 남겼고, 전적으로 정부가 자금을 지원했다. 그러나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은 민간 자금으로 운영되었고, 엄격한 지출 통제가 이루어졌다. 조직위원회는 새로운 경기장 건설 대신 기존 시설을 활용하기로 결정했다.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1932년 하계 올림픽에 이어 다시 한번 올림픽 경기장으로 사용되었다.[32] 기업 후원을 통해 세븐일레븐이 올림픽 벨로드롬, 맥도날드가 올림픽 수영장 건설 자금을 지원했다.

올림픽 위원회는 독점 텔레비전 중계권 수입을 활용하여 1980년 하계 올림픽의 두 배, 1976년 하계 올림픽의 네 배에 달하는 수입을 확보했다.[33][31]

낮은 관심 속에서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은 재정적으로 성공했고, 이후 도시들이 올림픽 개최에 다시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은 올림픽 조직의 최선의 사례로, 몬트리올 올림픽은 최악의 사례로 여겨지며 잠재적 개최 도시들에게 교훈을 제공한다.

피터 위버로스가 이끄는 로스앤젤레스 조직위원회(LOCOG)는 수익금으로 LA84 재단을 설립하여 남부 캘리포니아의 청소년 스포츠를 지원했다.

이 대회는 세금을 사용하지 않고 개최되었다. 이전 대회들의 적자 운영을 반면교사 삼아, 로스앤젤레스시는 재정 보증 없이 공적 자금을 사용하지 않는 운영 방침을 세웠다.[40] 피터 유베로스 조직위원장은 기존 시설 활용, 신규 시설 최소화, 기업 협력을 통한 지출 삭감을 추진했다.[40] 선수촌도 대학생 기숙사를 활용했다.[40]

자금 조달은 다음 네 가지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다.[40]

항목내용
텔레비전 방영료미국 ABC와 2.25억달러에 계약, 방송 설비비 7500만달러 부담. 전 세계 21개 방송 기관으로부터 2.86764억달러 확보.[46]
스폰서 협찬금업종별 1개 기업으로 제한, 최소 400만달러 조건. 코카콜라펩시 등 35개 기업 참여.
입장료 수입해당 부분의 자료는 원문에 없음.
기념품 판매해당 부분의 자료는 원문에 없음.



대회는 약 2.15억달러 흑자로 종료되었고, 수익금의 60%는 미국 올림픽 위원회에, 40%는 LA84 재단 설립에 사용되었다.[44][45] 전액이 미국의 청소년 및 스포츠 진흥을 위해 기부되었다. 이 대회의 성공은 그 후의 올림픽에 영향을 미치는 상업주의의 발단이 되었다.

공식 스폰서는 다음과 같다.[46]

공식 스폰서


3. 2. 공식 스폰서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은 민간 자금으로 운영되었으며, 지출에 대한 엄격한 통제가 이루어졌다. 조직위원회는 기존 경기장과 시설을 최대한 활용하고, 기업 후원사의 지원을 받아 두 곳의 새로운 경기장을 확보했다. 올림픽 벨로드롬은 세븐일레븐, 올림픽 수영장은 맥도날드가 자금을 지원했다.[32]

개최에 필요한 자금은 다음 네 가지를 통해 조달했다.[40]

# 텔레비전 방영료

# 스폰서 협찬금

# 입장료 수입

# 기념품 판매

특히 스폰서 협찬금의 경우, 그동안 많은 스폰서 기업이 참여했지만 스폰서 수가 너무 많아 가치가 떨어진다고 판단하여, 스폰서를 업종별 1개 기업으로 제한하고 최소 400만 달러, 총 35개 기업으로 수를 줄여 가치를 높였다. 코카콜라펩시가 치열한 스폰서 경쟁을 벌였다.[46]

다음은 1984년 하계 올림픽의 공식 스폰서 목록이다.[46]

ABC 텔레비전코카콜라앤하이저-부시
애로헤드&프리터스(en)덴쓰캐논
ABC 라디오(en)맥도날드아틀랜틱 리치필드(en)
아메리칸 익스프레스유나이티드 항공퍼스트 인터스테이트 은행(en)
사우스랜드코카콜라 푸즈뷰익/제너럴모터스
리바이스얼라이드(en)컨버스
후지사진필름산요전기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
타임스-미러모토롤라M&M 마스
트랜스아메리카(en)ARA 서비스(en)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아타리워너 커뮤니케이션즈제록스
IBM사우스 퍼시픽 철도AT&T
퍼시픽 벨(en)


4. 성화 봉송

1984년 하계 올림픽 성화 봉송은 뉴욕시에서 시작하여 로스앤젤레스에서 끝났으며, 33개 주와 워싱턴 D.C.를 통과했다. 이후의 성화 봉송과는 달리, 성화는 끊임없이 주자들이 도보로 봉송했다. 15000km가 넘는 경로에는 3,636명의 주자가 참여했다. 저명한 운동선수인 O. J. 심슨도 주자 중 한 명이었으며, 산타 모니카의 캘리포니아 인클라인을 따라 성화를 봉송했다. 제시 오웬스의 손녀인 지나 햄필은 콜리세움으로 성화를 봉송하고 트랙을 한 바퀴 돌아 최종 주자인 1960년 하계 올림픽의 10종 경기 우승자인 래퍼 존슨에게 전달했다. 존슨은 성화로 특수 제작된 가연성 올림픽 로고에 불을 붙여 다섯 개의 링에 모두 불을 밝혔습니다. 존슨은 올림픽 역사상 성화대에 불을 밝힌 최초의 흑인이 되었다.[11] 그 후 불꽃은 페리스타일 위의 성화대까지 전달되어 경기 기간 내내 타올랐다.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 개막식


대회 조직위원장 피터 우베로스는 일반 시민 성화 봉송 주자에게도 참가비를 징수하려는 계획을 세웠다. 함께 올림픽을 만드는 일원으로서 성화 봉송에 참가하는 사람이라면 재정적인 협력도 해줄 것이라는 것이 우베로스의 생각이었지만, 성화 봉송은 원래 그리스 위원회의 관할이었고, 그리스 위원회는 "성화를 상품화하는 것은 올림픽을 모독하는 행위"라며 반발했다.

하지만 결국 우베로스가 그리스 위원회를 설득하여 유료 성화 봉송이 실시되었고, 1km당 3000USD의 협찬금을 모금하여 협찬자가 성화 봉송 주자를 지명하는 형태로 하였다.[49] 최종적으로 약 1090만달러의 수익을 올렸고,[40] 수익은 청소년 스포츠 진흥에 사용되었다.[49]

이때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서 일본 대표로 마라톤 경기에 우승한 손기정도 성화 봉송 주자로 참여하였다.

5. 마스코트

마스코트는 (Sam the Olympic Eagle)이라는 이름의 흰머리수리였다.[17] 일본에서는 수리를 모티브로 한 마스코트 '이글 샘(イーグルサム)'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를 주인공으로 한 텔레비전 애니메이션도 제작·방영되었다.

6. 참가국

1984년 하계 올림픽 참가국


참가국들이 파견한 선수단의 인원 수


1984년 하계 올림픽에는 140개국이 참가했다. 바레인, 방글라데시, 부탄,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지부티, 적도 기니, 감비아, 그레나다, 모리타니, 모리셔스, 북예멘(예멘 아랍 공화국) , 오만, 카타르, 르완다, 사모아, 솔로몬 제도, 통가, 아랍에미리트 18개국이 처음으로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중화인민공화국1952년 하계 올림픽 이후 32년 만에, 대만1972년 하계 올림픽 이후 국호 문제로 참가하지 못하다가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의 권고에 따라 중화민국 대신 차이니스 타이베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참가했다.

소련은 4년 전 미국 주도의 1980년 하계 올림픽 보이콧에 대한 보복으로, 바르샤바 조약 회원국 및 기타 공산 국가들을 이끌고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을 보이콧했다(1979년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24] 그러나 유고슬라비아, 중화인민공화국, 루마니아 등 일부 공산 국가는 보이콧을 무시하고 대회에 참가했다.[25][26]

{| class="wikitable"

|-

! 참가국 및 인원 목록

|-

|



|}

6. 1. 대한민국 선수단

1984년 하계 올림픽에 대한민국 선수단은 204명이 참가했다.[1]

7. 보이콧

1980년 모스크바 하계 올림픽에 서방 국가들이 대거 불참한 것에 대한 보복으로, 소련을 비롯한 동구권 국가들은 1984년 로스앤젤레스 하계 올림픽을 보이콧했다. 이들은 표면적으로는 미국그레나다 침공에 대한 항의를 이유로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모스크바 올림픽 보이콧에 대한 보복 성격이 강했다.[47]

한편, 유고슬라비아루마니아는 소련과 거리를 두었던 사회주의 국가로서, 모스크바 올림픽과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 모두 참가했다. 특히 루마니아는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 개최국인 미국에 이어 많은 금메달을 획득하며 선전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중소 대립으로 미국과 가까워졌기 때문에 모스크바 올림픽에는 불참하고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는 참가하여 루마니아와 서독에 이어 많은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6년에 공개된 문서에 따르면, 소련은 1984년 로스앤젤레스 하계 올림픽을 대비하여 육상 종목에서 국가 차원의 도핑 시스템을 계획했음이 밝혀졌다. 이 문서는 소련의 올림픽 보이콧 결정 이전에 작성된 것으로, 기존의 스테로이드 프로그램 운영 상황과 개선 방안을 상세히 담고 있었다. 2017년 영화 ''이카루스''의 제작자 브라이언 포겔은 더욱 엄격해진 도핑 규제가 소련 보이콧의 주요 원인 중 하나였을 것이라고 주장했다.[30]

7. 1. 보이콧 국가

소련은 1984년 5월 8일에 "미국 사회에 만연한 반소련 쇼비니즘 정서, 선수단의 신변 안전과 관련된 문제"를 이유로 1984년 로스앤젤레스 하계 올림픽 불참을 선언했다. 이는 미국과 서방 국가들이 1980년 모스크바 하계 올림픽 보이콧을 주도한 것에 대한 보복 조치이기도 했다.[24]

1984년 하계 올림픽 보이콧 국가


소련과 같은 사회주의 국가였던 동독,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헝가리, 불가리아, 쿠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몽골, 베트남, 라오스, 앙골라, 에티오피아, 아프가니스탄, 남예멘 14개국 또한 소련의 보이콧에 동조하면서 불참했다. 이로 인해 1984년 하계 올림픽은 1980년 모스크바 하계 올림픽에 이어 "반쪽 대회"라는 오명이 붙었다. 소련은 올림픽을 대체하기 위해 보이콧에 동조한 국가들과 함께 프렌드십 게임을 개최하였다.[48]

중화인민공화국, 루마니아, 유고슬라비아는 보이콧에 동조하지 않고 참가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중소 분쟁으로 소련과 적대 관계였고, 루마니아는 바르샤바 조약 회원국 중 유일하게 보이콧에 동조하지 않았다. 유고슬라비아는 비동맹 운동을 주도했던 사회주의 국가였기 때문에 보이콧에 동조하지 않았다.

알바니아, 이란, 부르키나파소(오트볼타 공화국에서 1984년 8월 2일에 변경), 리비아는 소련 주도의 보이콧과 달리 독자적인 정치적 이유로 참가를 거절하였다. 알바니아는 중소 분쟁 이후 중화인민공화국과 우호 관계였으나, 1970년대 중화인민공화국의 미국 관계 개선 움직임에 반발하여 폐쇄주의 정책을 시행하고 있었다. 알바니아는 1976년 몬트리올 하계 올림픽부터 1988년 서울 하계 올림픽까지 불참했다. 이란은 미국의 중동 및 라틴 아메리카 간섭, 이스라엘예루살렘·팔레스타인 점령 지원에 대한 항의로 보이콧을 결정했다. 부르키나파소는 미국이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을 시행하던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지원하고 올림픽에 참가시킬 계획을 세웠다는 점, 잉글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의 남아프리카 공화국 친선 경기 문제를 들어 보이콧을 결정했다. 리비아는 미국 정부가 리비아 언론인들의 미국 입국을 거부한 조치에 대한 항의로 보이콧을 결정했다.[28]

1984년 로스앤젤레스 하계 올림픽 보이콧 국가는 다음과 같다.

'''소련 주도 보이콧 동조 국가'''



'''별개 정치적 사유로 보이콧한 국가'''


8. 경기 종목

1984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21개 정식 종목과 2개의 시범 종목(야구, 테니스)이 진행되었다. 세부 종목 수는 총 221개였다.

8. 1. 정식 종목

1984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다음 21개 종목의 221개 세부 종목이 진행되었다.

종목세부 종목 수
근대5종2
농구2
다이빙4
레슬링자유형10
그레코로만형10
배구2
복싱12
사격11
사이클도로3
트랙5
수구1
수영29
승마마장마술2
종합마술2
장애물2
싱크로나이즈2
양궁2
역도10
요트7
유도8
육상41
조정14
체조기계체조14
리듬체조1
축구1
카누12
펜싱8
하키2
핸드볼2


8. 2. 시범 종목

야구, 테니스

9. 경기장

1984년 하계 올림픽은 1976년 하계 올림픽(몬트리올 올림픽)의 재정적 실패 이후, 로스앤젤레스와 뉴욕만이 유치 경쟁에 참여했다. 미국 올림픽 위원회 투표에서 로스앤젤레스가 55표, 뉴욕이 39표를 얻어 로스앤젤레스가 개최지로 선정되었다.[31]

이전 올림픽들의 과도한 건설 비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조직위원회는 기존 시설을 최대한 활용하는 방안을 택했다. 1932년 하계 올림픽 당시 사용되었던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이 대표적인 예이다.[32] 새롭게 건설된 경기장 두 곳은 기업 후원을 통해 건설되었는데, 세븐일레븐이 올림픽 벨로드롬 건설을, 맥도날드가 올림픽 수영장 건설을 지원했다.

본 대회는 주로 로스앤젤레스 군, 오렌지 군, 샌버너디노 군, 샌디에이고 군, 벤추라 군의 5개 군에 걸쳐 개최되었다. 일부 종목은 다른 주에서 개최되기도 했다.

포럼에서는 농구 경기가 열렸다

  •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UCLA)'''
  • 로스앤젤레스 테니스 센터 – 테니스
  • 선수촌
  • '''로스앤젤레스'''
  • 로스앤젤레스 거리 – 육상 (마라톤)
  • '''롱비치'''
  • 엘도라도 공원 – 양궁
  • 롱비치 컨벤션 센터 – 펜싱
  • 롱비치 아레나 – 배구
  • 롱비치 쇼어라인 마리나 – 요트
  • '''잉글우드'''
  • 포럼 – 농구 및 핸드볼 결승전
  • '''카슨'''
  • 올림픽 벨로드롬,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도밍게스 힐스 – 사이클링 (트랙)
  • '''아케이디아'''
  • 산타 아니타 공원 – 승마
  • '''패서디나'''
  • 로즈 볼 – 축구 (결승전)
  • '''몬터레이 파크'''
  • 와인가트 스타디움, 이스트 로스앤젤레스 칼리지 – 필드하키
  • '''치노'''
  • 올림픽 사격장, 프라도 레크리에이션 지역 – 사격
  • '''말리부'''
  • 롤리 런넬스 기념 수영장, 페퍼다인 대학교 – 수구
  • '''아르테시아 프리웨이''' – 사이클링 (도로 단체 타임 트라이얼)
  • '''산타 모니카'''
  • 산타 모니카 칼리지 – 육상 (마라톤 시작)
  • 산타 모니카 – 육상 (마라톤)
  • '''기타 지역'''
  •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하버드 대학교 하버드 스타디움 – 축구 예선
  • 메릴랜드주 애나폴리스 미국 해군사관학교 미 해군-해병대 기념 경기장 – 축구 예선
  • 캘리포니아주 스탠퍼드 스탠퍼드 대학교 스탠퍼드 스타디움 – 축구 예선

9. 1. 주요 경기장

경기장종목주석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로스앤젤레스(California State University, Los Angeles) 이글스 네스트 아레나(Eagle's Nest Arena)유도[54]
로욜라 메리마운트 대학교(Loyola Marymount University) 알버트 거스텐 파빌리온(Albert Gersten Pavilion)역도[54]
다저 스타디움(Dodger Stadium)야구 (시범 경기)[54]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폴리 파빌리온(Pauley Pavilion)체조[54]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Los Angeles Memorial Coliseum)개회식, 폐회식, 육상, 마라톤 결승점[54]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스포츠 아레나(Los Angeles Memorial Sports Arena)복싱[54]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맥도날드 올림픽 수영 경기장(McDonald's Olympic Swim Stadium)경영, 다이빙, 아티스틱 수영[54]
애너하임(Anaheim) 디즈니랜드 리조트(Disneyland Resort) 애너하임 컨벤션 센터(Anaheim Convention Center)레슬링[54]
코토 드 카자(Coto de Caza)근대 5종 (펜싱, 사격, 달리기, 승마)[54]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풀러턴(California State University, Fullerton) 타이탄 체육관(Titan Gym)핸드볼[54]
어바인 헤리티지 파크 수영 센터(Heritage Park Aquatic Center)근대 5종 (수영)[54]
미션 비에호사이클 (개인 도로 경주)[54]
치노 프라도 지역 공원(Prado Regional Park)사격[54]
란초 산타페 페어뱅크스 랜치 컨트리 클럽(Fairbanks Ranch Country Club)승마 (마장마술, 장애물 경주)[54]
로스 파드레스 국유림(Los Padres National Forest) 카시타스 호(Lake Casitas)카누, 조정[54]


10. 대회 이모저모


  •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이 엄청난 적자를 기록하면서, 2년 뒤 개최가 확정된 이 대회도 성공에 대한 우려가 컸으나, 1932년 하계 올림픽 이후 52년 만에 200만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
  • 공산권 국가들의 불참으로 미국 대표팀은 금메달 83개를 포함해 총 174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어부지리로 메달을 쓸어담았다.
  • 올림픽 공식 스폰서인 맥도날드는 "미국이 이기면, 여러분도 이깁니다"라는 마케팅을 진행했다. 고객들은 스크래치 복권을 통해 미국이 딴 메달에 따라 빅맥, 감자 튀김, 탄산음료를 받을 수 있었다. 하지만 맥도날드는 보이콧과 미국의 메달 싹쓸이를 예상하지 못해 큰 손실을 봤다. 뉴욕 타임스는 미국 전역 6600개 이상의 매장에서 빅맥이 떨어졌고, 맥도날드가 "믿을 수 없는" 손실을 봤다고 보도했다.[57]
  • 존 윌리엄스가 작곡한 Olympic Fanfare and Theme이 이 대회에서 처음 연주되었으며, 올림픽 경기에서 자주 연주되어 매우 익숙한 곡이 되었다.
  • 여자 마라톤 경기가 처음으로 열렸다.
  •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현 아티스틱 스위밍)과 리듬 체조가 처음으로 열렸다.
  • 1924년 하계 올림픽 이후 중단되었던 테니스가 시범종목으로 선보였고, 1988년 하계 올림픽에서 정식종목으로 부활했다.
  • 미국칼 루이스1936년 하계 올림픽에서 제시 오언스가 금메달을 딴 100m, 200m, 400m 릴레이, 멀리뛰기에서 똑같이 금메달을 따 4관왕이 되었다.
  • 영국데일리 톰프슨은 10종 경기에서 서독의 위르겐 힝젠을 꺾고 2연패를 달성했다.
  • 중화인민공화국체조 선수 리닝은 금메달 3개, 은메달 2개, 동메달 1개로 최다 메달리스트가 되었다.
  • 여자 3,000m 결승전에서 미국의 메리 데커와 영국의 졸라 버드 간의 충돌 사건이 있었다.
  • 프랑스가 남자 축구 결승에서 브라질을 2-0으로 격파하여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루안주지에(欒菊杰)는 동양인 최초로 펜싱-플뢰레 여자개인전 금메달리스트가 되었다.
  • 대한민국은 복싱의 신준섭, 레슬링김원기, 유인탁, 양궁서향순, 유도안병근, 하형주 선수가 금메달을 획득하여 종합순위 10위를 기록했다. 여자 핸드볼 대표팀과 여자 농구 대표팀도 은메달을 획득했다.
  • 레슬링 남자 자유형 57kg급의 김의곤, 양궁 여자 개인 김진호, 레슬링 남자 그레코로만형 52kg급의 방대두, 레슬링 남자 자유형 48kg급의 손갑도, 레슬링 남자 자유형 62kg급의 이정근, 복싱 남자 -60kg급의 전칠성, 유도 남자 +95kg급의 조용철은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 이 대회는 올림픽 선수촌 내 공존의 새로운 규칙이 시행된 최초의 대회였으며, 모든 선수들이 성별이나 정치적 블록으로 나뉘지 않고 같은 장소에 머물러야 했다.[18]
  • 국제올림픽위원회는 개회식의 공식 행사 부분과 문화 행사 부분을 섞어 진행했다. 빌 수이터가 벨 에어로시스템즈 제트팩(로켓팩)을 이용하여 등장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 미국1968년 이후 처음으로 메달 수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금메달 83개라는 기록적인 수를 획득하여 소비에트 연방이 1980년 하계 올림픽에서 획득한 금메달 80개를 넘어섰다.[19]
  • 1979년에 체결된 나고야 결의와 중화민국(대만)을 중화 타이베이로 지정한 결과, 중화인민공화국헬싱키 1952 이후 처음으로 하계 올림픽에 복귀했다. 개회식에서는 양 팀 모두를 위해 중국 군가가 연주되었다.
  • 로스앤젤레스 출신의 지역 예술가 로드리고 에스칼레라(Rodolfo Escalera)는 하계 올림픽을 묘사한 9점의 그림을 제작하는 의뢰를 받았고, 이 그림들은 "1984년 올림픽 공식 기념품"으로 제공되었다. LAOOC는 어니 바네스(Ernie Barnes)를 "1984년 하계 올림픽 스포츠 아티스트"로 지정했고, 바네스는 올림픽을 주제로 한 5점의 그림을 제작하고 도시 빈민층 청소년들을 격려하는 공식 올림픽 대변인 역할을 맡았다.

11. 메달 집계

순위국가합계
1미국836130174
2루마니아20161753
3서독17192359
4중화인민공화국158932
5이탈리아1461232
6캐나다10181644
7일본1081432
8뉴질랜드81211
9유고슬라비아74718
10대한민국66719



1984년 하계 올림픽에서 미국은 금메달 83개, 은메달 61개, 동메달 30개로 총 174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1위를 차지하였다. 대한민국은 금메달 6개, 은메달 6개, 동메달 7개로 총 19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10위를 기록했다.

12. 개회식

소련과 동유럽 국가 선수들이 불참한 결과, 사격의 가마치 다케오(일본), 체조 여자 개인 종합의 메리 루 레튼(미국) 등 몇몇 종목에서 이전까지 메달과 인연이 없었던 국가에 금메달을 안겨주었다. 특히 레튼의 금메달 획득은 미국에서 체조 붐을 일으켜 많은 아이들이 체조를 시작하게 되었고, 이는 이후 미국의 체조 경기의 약진의 원동력이 되었다. 또한, "여자 선수에게 너무 위험하다"는 이유로 오랫동안 개최되지 않았던 여자 마라톤이 이 대회부터 공식 종목이 되었지만, 8월 개최 대회였기에 혹서 속에서 경기가 진행되어, 온도를 낮추기 위해 코스 중간에 샤워 시설을 설치하는 등의 대책을 세웠음에도 불구하고, 가브리엘라 안데르센(스위스)가 탈수 증상으로 비틀거리며 골인하는 일이 발생했다. 소련과 동독이 불참한 결과, 미국은 자국 개최라는 이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실력을 발휘했다.[1]

13. 폐회식

1984년 하계 올림픽 폐회식은 미국 동부 시간으로 오후 5시에 시작되었다.

폐회식에서는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의 개회 선언, 존 윌리엄스의 올림픽 주제곡 연주, 풍선을 든 사람들이 만든 인간 숫자, "WELCOME"이라고 적힌 현수막을 끄는 경비행기, 거대한 "WELCOME" 현수막을 공중에 게양하는 두 대의 비행선, 빌 스터(Bill Suitor)가 조종하는 개인용 제트 추진 비행 장치인 로켓 벨트를 이용한 공중 유영(일명 로켓맨), 수많은 피아노를 사용한 라프소디 인 블루(Rhapsody in Blue) 연주 등이 펼쳐졌다.[52] 특히 로켓맨 연출은 큰 화제를 불러일으켰다.[52]

참조

[1] 보도자료 Factsheet - Opening Ceremony of the Games of the Olympiad https://stillmed.oly[...]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018-12-22
[2] 웹사이트 List of Olympic Host Cities – Architecture of the Games https://architecture[...] 2024-08-13
[3] 뉴스 NO BOYCOTT BLUES https://www.olympic.[...] 2017-01-06
[4] 웹사이트 Games of the XXIII Olympiad http://www.olympic.o[...]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008-08-31
[5] 뉴스 LA the Best Site, Bid Group Insists; Olympics: Despite USOC rejection https://web.archive.[...] 2004-07-25
[6] 뉴스 It's official: Sponsors help pay for Olympics https://news.google.[...] 1984-04-07
[7] 뉴스 L.A. officially awarded 2028 Olympic Games http://www.latimes.c[...] 2017-09-13
[8] 웹사이트 سند تاریخی: ایران و میزبانی جام جهانی ۹۰ https://www.varzesh3[...] 2024-10-02
[9] 웹사이트 Past Olympic host city election results https://web.archive.[...] GamesBids 2018-11-13
[10] 웹사이트 1984 Tehran Hosting http://www.seratnews[...] 2024-03-11
[11] 웹사이트 Rafer Johnson, the Olympic gold medalist who helped bring the games to L.A., has died https://www.latimes.[...] 2020-12-02
[12] 서적 Official report of the Games of the XXIIIrd Olympiad, Los Angeles, 1984. https://digital.la84[...] Los Angeles Olympic Organizing Committee
[13] 웹사이트 Various – The Official Music Of The XXIIIrd Olympiad – Los Angeles 1984 (LP) at Discogs http://www.discogs.c[...] 2009-09-10
[14] Youtube Check out the credit at Music Video https://www.youtube.[...]
[15] 영상매체 Los Angeles 1984 Olympic Opening Ceremony Complete https://www.youtube.[...] 2014-09-06
[16] 뉴스 Tuning into the Games, Watching the Olympics is the next best thing to playing https://www.timesuni[...] 2012-07-19
[17] 웹사이트 Los Angeles 1984 - The Mascot https://olympics.com[...]
[18] 웹사이트 Olympic Summer Games Villages from Paris 1924 to Tokyo 2020 https://library.olym[...] The Olympic Studies Centre 2022-06-20
[19] 웹사이트 Most gold medals won at a single Summer Olympic Games - Country https://www.guinness[...]
[20] 방송 Mary Decker vs Zola Budd DR2 2018-08-02
[21] 뉴스 Li Ning, "Prince of Gymnasts" and businessman https://www.reuters.[...] 2008-08-08
[22] 뉴스 The Soviet Doping Plan: Document Reveals Illicit Approach to '84 Olympics https://www.nytimes.[...] 2017-11-13
[23] 웹사이트 International Fairplay Committee - Mohamed Ali Rashwan http://www.fairplayi[...] 2008-01-21
[24] 뉴스 Moscow will keep its team from Los Angeles Olympics; Tass cites peril, U.S. denies it; Protests are issue https://www.nytimes.[...] 1984-05-09
[25] 뉴스 '84 Olympics: Gala trumpets in Games https://news.google.[...] 1984-07-29
[26] 뉴스 Romania: No Boycott, A Winning Presence https://www.washingt[...] 1984-07-23
[27] 웹사이트 1984 Olympics https://web.archive.[...] 2006-06-11
[28] 서적 Making New People Politics, Cinema, and Liberation in Burkina Faso, 1983-1987 Michigan State University Press 2022-11
[29] 뉴스 The Soviet Doping Plan: Document Reveals Illicit Approach to '84 Olympics https://www.nytimes.[...] 2017-06-06
[30] 웹사이트 Bryan Fogel talks 1984 Summer Olympics boycott on The Jim Rome Podcast https://web.archive.[...] 2017-11-23
[31] 웹사이트 No Olympics, No Problem: New York City's Political Regime after the Bid for the 2012 Games https://web.archive.[...] 2009-07-24
[32] 뉴스 Let Boston 2024 pay for the Olympics https://www.bostongl[...] 2015-07-28
[33] 논문 A New Phase in the Competition For The Olympic Gold: The London and New York Bids For The 2012 Games
[34] 뉴스 Advertising; Big Mac's Olympic Giveaway https://select.nytim[...] 2010-04-20
[35] 에피소드 Ignition
[36] 비디오 The Future is Now: NCIS meets the jet pack CBS Studios
[37] 뉴스 84年五輪テヘラン正式立候補 読売新聞 1975-10-08
[38] 뉴스 84年五輪米に誘致推進決議案近く提出 読売新聞 1977-07-26
[39] 뉴스 米委、ニューヨークよりロサンゼルス選ぶ 朝日新聞 1977-09-26
[40] 웹사이트 ピーター・ユベロス ロサンゼルスが悪いのではない…… 【オリンピック・パラリンピック 歴史を支えた人びと】 https://www.ssf.or.j[...]
[41] 뉴스 五輪をミニEC共催でベルギー節約めざし呼びかけ 朝日新聞 1976-05-28
[42] 서적 Olympische Sommerspiele. Die Chronik III. Mexiko-Stadt 1968 – Los Angeles 1984. Sportverlag Berlin
[43] 서적 Olympische Sommerspiele. Die Chronik III. Mexiko-Stadt 1968 – Los Angeles 1984. Sportverlag Berlin
[44] 뉴스 オリンピック憲章を読む 東京新聞 2017-10-13
[45] 웹사이트 オリンピック関連のスポーツ誌、学術書籍などのデジタル化プロジェクト https://current.ndl.[...]
[46] 웹사이트 Official Report of the 1984 Olympic Games pp.305 https://digital.la84[...]
[47] 문서 モスクワオリンピックも不参加。
[48] 문서 もっとも公式筋は国際オリンピック委員会との摩擦を避けるために、ロサンゼルスオリンピックの対抗大会であることを否定している。
[49] 웹사이트 聖火は燃え続けるか 希望と逆風の旅路 逆風を追い風にしたロスの聖火 https://www.jiji.com[...]
[50] 웹사이트 ロサンゼルス1984オリンピックロゴ、ポスター&大会ルック https://olympics.com[...]
[51] 웹사이트 歴代五輪エンブレム(5)ロサンゼルス https://web.archive.[...]
[52] 뉴스 口パク、ハト焼死… 物議や話題呼んだ五輪開会式の演出あれこれ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1-03-19
[53] 웹사이트 1984 Olympic Marathon Reference Points http://www.runscore.[...] 2012-08-20
[54] 문서 ミッションビエホ近隣の地域。2012年現在、市として独立しておらず、郡の管理下にある。
[55] 문서 ハーバード大学のほぼ全ての建物はケンブリッジ市内にあるが、ハーバード・スタジアムは隣のボストン市内にある。
[56] 웹사이트 東京オリンピック2020|野球|競技紹介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20-12-31
[57] 뉴스 Let's Remember McDonald's Marketing Disaster In The 1984 Olympics https://laist.com/ne[...] LAist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